
동주 학습심리상담센터
치료 프로그램
- 대상 : | 취학 전 유아, 초등학생 |
---|---|
- 특성 : | 자모음의 모양을 구별하지 못한다. 낱자쓰기를 할 때 자모음위치의 혼란이 있다. 낱자를 읽지 못한다. 단어를 보고 즉각적으로 읽지 못한다. 자주 접하지 않는 단어나 새로운 단어를 올바르게 읽지 못한다. 음운 변동 현상이 일어나는 단어를 읽지 못한다. |
- 대상 : | 취학 전 유아, 초등학생 , 중학생, 고등학생 |
---|---|
- 특성 : |
책을 유창하게 (빠르고 정확하게) 읽지를 못한다. 책을 읽을 때 낱자 단위로 읽는다. 문장을 건너 뛰어 읽기를 한다. 줄 바꿔 읽기에 어려움이 있다. 적절하게 끊어 읽기를 못한다. 글자를 빼거나 바꿔서 읽는다. 묵독의 속도가 느리다. |
- 대상 : | 초등학생, 중학생, 고등학생 |
---|---|
- 특성 : |
사칙연산을 어려워한다. 연산에서 자동인출이 어렵다. 자릿 값을 어려워한다. 단위의 전환을 어려워한다. 문장제 수학을 어려워한다. 도형의 변화를 어려워한다. 평면도형과 입체도형을 이해하지 못한다. 수학성적이 또래에 비해서 학년편차 2학년 이상 현저히 떨어진다. |
- 대상 : | 초등학생, 중학생, 고등학생 |
---|---|
- 특성 : |
자모음의 모양과 위치를 변별하지 못한다. 비슷한 모양의 글자를 변별하여 바르게 쓰지 못한다. 띄어쓰기와 철자의 맞춤법이 자주 틀린다. 작문을 어려워한다. 단순한 문장을 구사한다. 표현력이 부족하다. 문법적으로 맞지 않는 문장을 구사한다. |
- 대상 : | 초등학생, 중학생, 고등학생 |
---|---|
- 특성 : |
책 읽기를 싫어한다. 글의 종류와 특징을 알지 못한다. 글의 맥락을 이해하지 못한다. 어휘력이 부족하다 단어 의미를 파악하지 못한다. |
- 대상 : | 취학 전 유아와 초/중등학생 |
---|---|
- 특성 : |
모양을 변별하지 못 한다, 분류하기를 못한다, 시간·계절·시제 등을 모른다. 크기·높이·무게·길이·양·두께의 서열화를 못한다. 수세기와 수의미를 모른다, 구체물과 숫자 대응을 못한다, 물체의 부분과 전체를 모른다, 사건의 추론과 예측을 하지 못한다, 따라 그리기/보고 그리기에 어려움을 보인다, 한글을 모른다, 언어적 지시를 이해하지 못한다, 단기기억에 어려움을 보인다. |
- 대상 : | 유아, 초등학생, 중학생, 고등학생 |
---|---|
- 특성 : |
말을 더듬거나 발음에 문제가 있어요. 자신의 생각이나 경험을 언어로 말하지 못해요. 또래에 비해 의사소통 능력이 부족해요. 언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어요. 상황에 맞지않는 말을 하거나 의사표현이 어려워 또래 관계가 힘들어요. |
- 대상 : | 취학 전 유아 |
---|---|
- 특성 : |
지나치게 산만한 어린이 학습에 어려움을 보이는 어린이 심하게 떼쓰거나 반항적인 어린이 의욕이 없어 보이는 어린이 틱, 야뇨, 등교 거부 등 적응에 어려움이 있는 어린이 강박적인 습관이 있는 어린이 또래관계에 어려움이 있는 어린이 |
- 대상 : | 초, 중, 고등학생 |
---|---|
- 특성 : |
인터넷게임에 중독된 청소년 우울하고 무기력한 청소년 시험불안이 높은 청소년 학업성취가 부진한 청소년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보이는 청소년 성격 및 대처방식이 경직되어 있는 청소년 반항적이고 품행문제가 있는 청소년 부모와의 관계문제가 있는 청소년 |
- 대상 : | 성인 |
---|---|
- 특성 : |
성격 및 대인관계 문제가 있는 성인 우울하고 무가치감을 느끼는 성인 자녀/배우자와의 관계 문제가 있는 성인 분노조절에 어려움이 있는 성인 지나친 불안과 걱정이 있는 성인 |
- 지능검사 : | K-WISC-Ⅴ |
---|---|
- 심리검사 : | BGT, HTP, KFD, MMPI, Rorschach Inkblot Test, SCT |
- 난독증 및 학력검사 : | RA-RCP, BASA(읽기, 쓰기, 수학), KISE-BAAT, 읽기진단검사, 한국어 읽기 검사(KOLRA) |